안녕하세요:)
인터넷전문은행 3사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가 대출상품 다변화를 통해 기존 은행들의 사업영역에 침투하고 있습니다. 시중은행만의 고유 대출상품으로 남아있던 주택담보대출과 사업자대출 시장에 인터넷은행이 진출함으로써 대출 시장 판도에 변화를 가져올듯 합니다.
토스뱅크는 지난14일 비대면으로 신청부터 실행까지 가능한 개인사업자 대출을 출시했으며, 카카오뱅크는 15일 '2022년 카카오뱅크의 방향과 주택담보대출 출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오는 22일 전 과정을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구현한 모바일 주택담보대출을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주택담보대출을 시행중인 케이뱅크는 1천억원 한도로 아파트담보대출 고정금리 상품의 금리를 0.5%포인트 낮춘다고 발표하는 등 인터넷은행의 확장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인터넷전문은행 | 상품 | 출시시기 |
토스뱅크 | 개인사업자대출 | 2월 14일 |
카카오뱅크 | 주택담보대출 | 2월 22일 |
개인사업자 SOHO대출 | 하반기 중 | |
케이뱅크 | 개인사업자 운전자금 대출 | 1분기 예정 |
토스뱅크
완전히 새로운 은행을 만나보세요
www.tossbank.com:443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이용안내, 상담하기, 소비자보호, 증명서발급, 회사소개, 인재채용, (주)카카오뱅크
www.kakaobank.com
케이뱅크
2022.02.09 ~ 2023.01.31 1분 머니톡, 왜 하필 금괴 855개를 샀을까?
www.kbanknow.com
카드사 | 상품명 | 최대한도 | 금리 |
신한 | 마이크레딧 사업자금대출 | 5,000만원 | 연4.75~19.9% |
롯데 | 로카머니 사업자대출 | 5,000만원 | 연4.9~19.9% |
우리 |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 5,000만원 | 연4.7~19.7% |
비씨 | 가맹점 대출 | 5,000만원 | 연6.9~15.5% |
최근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개인사업자대출 규모가 빠르게 불어나는 점도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출상품 출시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죠. 작년 말 기준 가계대출이 15.6% 증가하는 동안 개인사업자대출은 23.1% 대폭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하는데요, 중소기업대출은 이보다 더 높은 24.6% 증가했다고 합니다. 작년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로 성장이 억제된 반면 개인사업자들은 코로나 이후 어려운 경제상황 등으로 인해 기업대출이 가계대출보다 더 많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사업자대출시장을 두고 펼치는 인터넷은행 간 경쟁과 신용카드사 간 경쟁은 향후 치열해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비대면 상품들도 계속적으로 출시되어 은행에 방문하는 번거로움이 줄여지니 인터넷은행의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양한 사업자대출상품의 금리, 한도 등 꼼꼼히 확인해보시고,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관련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한은 기준금리 인상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은행대출금리비교 사이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은행대출금리 인상과 대출금리 비교해볼 수 있는 사이트 소개 등 금리와 관련된 내용을 적어보려합니다. 저도 은행대출을 받고 있는 입장에서 대출금리 인상은 가계경제에
dreamyoung.tistory.com
2022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대출비교 대출주의사항
안녕하세요:) 국내 주요 은행의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연 6%에 미치지 않았다는 통계가 나왔죠.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율은 5.8%를 기록해 금융당국이 당
dreamyoung.tistory.com
📣아래↓채널추가(ch+)하시면 경제관련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어요😀
경제쏙쏙 머니쑥쑥
우리의 머니에 도움되는 경제와 금융 이야기들을 쏙쏙 모았습니다:) 채널추가&좋아요♡.♡
pf.kakao.com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주요환율 변동, 러시아펀드 환매중단사태까지 금융이슈 정리 (0) | 2022.03.04 |
---|---|
전쟁과 인플레이션, 스크루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까지 나타날까 (0) | 2022.03.02 |
한은 기준금리 인상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은행대출금리비교 사이트 (0) | 2022.01.18 |
2022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대출비교 대출주의사항 (0) | 2022.01.04 |
2022 달라지는 것들 <3> 노동·복지·교육 관련 제도 (0) | 2022.01.03 |
댓글 영역